Report 보고서
국립박물관 무료화 시범실시에 따른 관람객 분석 및 파급효과 연구
Study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Long-and Short-term Scheme for the Advancement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Focus on folk craftsmanship enhancement scheme-
사단법인 한국중요무형문화재기능보존협회
2007년 6월
연구책임자 : 최병식
한국 무형문화재의 현황과 장단기 진흥방안
-공예기술분야 진흥을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 최병식(경희대 교수)
우리나라의 무형문화재 제도는 1962년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하면서 법적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을 지정한 이후 2006년 12월 31일 현재까지 112종목 200명(명예보유자 17명 제외)에 달하는 보유자를 지정․보호․관리하고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현황은 2006년 12월 31일 현재 112종목에서 200명(명예보유자 17명 제외)의 보유자가 지정․인정되어 있다. 이 중 공예기술종목 무형문화재의 경우 지정종목은 47종목이며 보유자는 60명이 활동하고 있다.
이 연구 보고서는 한국중요무형문화재기능보존협회에서 한국의 무형문화재 공예기술로 분류된 중요무형문화재의 진흥방안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정책적인 보고서이다. 이를 위하여 제1장에서는 무형문화재의 의미와 유형을 살펴보았으며, 제2장에서는 한국 무형문화재 제도와 실태를 현황과 제도, 지정, 전승체계, 지원, 설문통계 등과 함께 기술하였다.
특히 그 중에도 보유자들의 지정과정과 전수교육, 이수증 교부제도, 명예보유자 제도, 전승활동 지원, 전수교육관 건립, 기록화 사업 등을 주로 다루었다. 설문통계는 전국적으로 70여 명의 중요무형문화재와 시․도 무형문화재들을 직접 방문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도표화 하는 등 정리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제3장에서는 유네스코(UNESCO), 프랑스, 영국, 중국, 일본,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의 주요 외국의 현황과 역사, 인증제도, 관리부서, 심사제도와 지원제도, 법안 등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한국 무형문화재 제도의 현황과 진흥방안을 결론부분으로 도출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절실한 체감적 진흥방안과 비전, 무형문화재의 정체성과 인정제도, 전승체계, 무형문화재의 자료 구축, 한국무형문화유산 축제, 한국중요무형문화재기능보존협회의 활성화, 법규상의 개정, 박물관과 연계한 활성화와 보존 등을 언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21세기의 새로운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장단기 진흥방안을 논하였다.
Study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Long-and Short-term Scheme for the Advancement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Focus on folk craftsmanship enhancement scheme-
Head of Research : Choi, Byung-Sik, Professor of Kyunghee University
The legal system concerning Kore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as placed in order in 1962 when laws protecting cultural heritage were revised. Since its designation of 'Royal Shrine Music'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 in 1964, from December 31, 2006 to the present, more than 112 categories including 200 possessors of the title(excluding 17 honorary bearers of the title) have been appointed and cared for.
The current status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of December 31, 2007 consists of 112 categories of 200 persons(excluding 17 honorary bearers of the title). Of these, 47 categories and 60 persons are designated to be included in the folk craftsmanship category.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Preservation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ith the intention of a policy report focused on the advancement scheme regarding the traditional craftsmanship category within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e first chapter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the different form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while the second chapter states the present condition of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provides an in-depth report about the system, designation process, heritage transmission practic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financial support, survey analysis, etc.A particular emphasis is placed on the system related to designating possessors of the title(including honorary titles), mandatory education, issuing certificates, successor training activities, establishment of education centers and etc. A survey was conducted by visiting approximately seventy bearers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hroughout the nat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into data charts.
Chapter 3 takes a look at the current status and history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overseas countries, including UNESCO, France, U.K., China, Japan, U.S.A., and Australia, and their designation system, administrative agencies, criteria, subsidies, related laws, etc. Chapter 4 emphasizes an urgent need for an advancement scheme and visionary implementations, identity issues and recognition practices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bearers, transmission system, formation of database of the bearers, festivals of Kore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ctive role of Korean Association for Preservation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mprovements of regulations and laws,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museums and preservation matters, etc. In conclusion, this chapter discusses the long- and short-term advancement scheme, and offers a vision of a renew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actices for the 21st century.